목적
•
2024년 점검, 2025년도 프로젝트 방향성 설정
•
프로젝트 운영을 체계적으로 만들 수 있는 미션과 세부 요소를 정리
대상
•
다가치학교 2024 코디네이터
•
1일차: 얼룩 모아 앙꼬 와락 도치 현미 민트 연두 존지 다다 쩰라 복치 수박
•
2일차: 얼룩 모아 앙꼬 와락 귤 연두 쏘야 파랑 두두 수박
일시
: 2025.2.13. / 2.20. 목요일 오후 6시
장소
: 다가치학교-남부 도서관
*테이블 활용 전지 3~4개 부착
*전체 타임라인 작성
과정
2/13 1차 코디연수
시간 | 구분 | 세부 내용 | 준비 |
18:00~18:15 | 브리핑 | 사전자료, 프로젝트 피드백 내용 브리핑
타임라인 점검 | 사전 자료 PPT |
18:15~19:00 | 타임라인 분석 | 타임라인 위에 벌어지는 사건들 나열
1) 외부 환경 변화, 새로운 요소의 개입
2) 프로젝트 운영상의 특이 사항 _ 벌어진 일들
*고민지점 _ 코디네이터, 운영단 지원, 연수 등 | |
19:15~20:00 | 2025 타임라인 설계 | 타임라인 위에 2025 과정 설계
*고민지점 솔루션 전략 → 미션, 외부 요인 개입 등 | |
20:00~20:30 | 기획워크숍 설계 | 기획워크숍 아이디어
*프로젝트 운영 전체 테마 선정
*기획워크숍 툴 논의 |
2/20 2차 코디 연수
시간 | 구분 | 세부 내용 | 준비 |
18:00~18:30 | 식사 | 사전 자료 PPT | |
18:30~18:45 | 브리핑 | 사전자료, 프로젝트 피드백 내용 브리핑
타임라인 점검 _ 1차 연구소 내용 공유 | |
18:45~19:15 | 브레인 스토밍 | 타임라인 위에 위치한 핵심 이슈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5월(기획워크숍) _ 다가치와 프로젝트활동에 대한 이해도 높이기 전략
*6~8월(상반기활동) _ 느린학습자와 비느린학습자 꾸리가 함께하는 프로젝트 운영 전략
*9월(중간공유회) _ 발표회, 축제 형식이 아닌 프로젝트 몰입,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판
*10월(하반기활동) _ 신규 청소년이 기존 프로젝트를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획을 해보는 것
+추가하고 싶은 고민거리 | |
19:15~20:20 | 조별 활동
*크리티컬패스 | 원하는 주제(이슈)에 들어가서 조별 토론
1차 활동 당시 현재 상황과 고민(목표)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상태
*목표에 도달하는 구체적인 루트 생성 | |
20:20~20:50 | 내용 공유 |
TIME LINE
시기 | STAR REGACY | 수행 과업 |
4월 | Preparing | 코디네이터 선발, 집중 연수 |
5월 | Preview
미리보기 _ 1차 다가치랑 친해지기
도전과제 _ 2차 브레인스토밍
아이디어생성 _ 3차 프로젝트 계획 | 기획워크숍 운영
프로젝트 설계 |
6~7월 | 미리보기
도전과제
아이디어생성 | 프로젝트 시작
*계획 세부 조정 |
7월~9월 | 다양한 관점 | 상반기 하위 프로젝트(1) |
9~10월 | 연구와 수정 | 중간 공유회 이후 프로젝트 점검 |
11~12월 | 검증과 피드백 | 하반기 하위 프로젝트(2) |
1월 | 발표와 공유 | 최종 공유회 |
2월 | 평가 | 연구소, 겨울방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