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치배움터, 다가치학교 발전 과정 연구
GROW 목표 설정
TIME | TITLE | CONTENTS |
6:30~6:50 | SW 분석 _ 공간 | 전차시 부분 진행
다가치학교 공간의 강정과 약점 분석 |
6:50~7:20 | GROW talk | Goal : 목표 설정
다가치학교 운영의 구체적인 목표 설정 |
7:20~7:50 | GROW talk | Real 현재 분석 + Option 방해요소 분석 |
7:50~8:40 | GROW talk | 해결방학 WIll 작성 |
2회차 워크숍 내용 아카이브
청소년 아지터로서 다가치학교 공간 현황 파악
다가치학교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방향성 제시
[SW matrix] 다가치학교 분석 _ 공간
1.
공간: 특별실 2개 (미디어학습실, 카페) + 범용 공간 / 오류중과 공간 공유
* 학교라는 공간의 이미지 넘나들기
Strength | Weakness |
공간의 개방적인 분위기 | 학교장 등 구성원의 리더십에 따라 영향을 받음 |
학교 공간 활용 가능 (안정적인 청소년 수요) | 특별실이 없음. 공간을 활용하는 상상력 필요 |
전용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함 | 떨어지는 접근성과 아는 사람만 접근할 수 있는 공간 |
Question
•
다가치학교 특별실 (미디어학습실, 카페)를 이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턱을 어떻게 낮출까?
•
다가치학교 옥상 공원이 생긴다면 어떤 활동을 할 수 있을까? (실제 벌어질 일)
•
프로젝트에서 공간을 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비품은 무엇일까?
[GROW TALK] 다가치학교 목표 달성 Matrix
Goal: 구체적인 실행 목표
Real: 현재 놓인 상황
Option: 목표실행을 위한 문제 요소
Will: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 방안
Quantity
Goal: 단골을 늘리자 (Quantity) 100명!
Real: 오류중 단골 90%, 스쳐가는 사람은 많지만 머무르는 경우는 그에 비해 적다. (꾸리, 코디 포함)
Option
1. 오류중의 공간적 한계
2. 오류중학교 꾸리의 기참여자 무리
3. 관계 중심성 과정 설계
4. 구성원의 다가치학교 이해도 상이
5. 오류중 외 참가자 홍보가 부족
Will
* 프로젝트의 활동의 범위를 다가치 외부로 넓히기
= 교육과정 중 지역 연계, 전문가 연계 확대 / 자연스러운 홍보
* 구성원들의 이해도 높이기
= 다가치의 문화를 언어화하기 / 청소년과 코디가 주도하는 라운딩 프로그램 개설 (주체성 강화)
* 프로그램 다종다양화
= 다가치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 배치, 촘촘한 판을 까는 작업
Quality
Goal: 교육과정 심화 (심화과정, 동아리과정, 아카이브)
Real: 명확한 공간-분야 활동은 심화가 가능한 상황 / 행사 중심, 동아리성 운영 / 팀별 활동의 과정 상이 / 활동일지가 대부분의 아카이브
Option
1. 단편적인 교육과정 / 초창기 교육과정 세팅
2. 명확한 아카이브의 창구가 없음
3. 개인(코디, 운영단)의 노력으로 프로젝트 질적 강화
Will
* 프로젝트 운영의 다양한 변화 추구
= 다양한 참여의 창구를 만들기 + 필요한 교육과정 신설
* 코디 역량 강화
= 워크숍을 통한 과정 설계, 기술과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맞춤형 지원
3회차를 위한 준비
1.
타기관의 구체적인 프로젝트 기획, 운영 과정 조사
: 청소년 프로젝트 활동 중심 검색 or 참고할 만한 프로젝트형 사업 내용
: 청소년 동아리 활동 지원
: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1인 당 1개의 사례를 찾아 공유 후 구체적인 전략 수립 워크숍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