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명: 디지털 배우‘구’ 디지털 세계‘로’ 박람회
정책 제안자: 디.오.해.(일상적 디지털 차별을 해결하는 오류고 해결단)
프로젝트 팀원: 강규리, 김수연, 김예람, 김은빈, 송지수, 김리현
정책 제안 배경 & 필요성2022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2023)에 따르면, 60대 이상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령층은 특히 4대 정보취약계층(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고령층) 중에서도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등)의 보급률이 높아 디지털정보화 접근 수준은 95.1로 높지만, 역량, 활용 수준은 각각 54.5, 72.6으로 타 정보취약계층에 비해 굉장히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
궁동의 노년층 인구 비율이 높고, 생활권 내에 ‘궁동종합사회복지관’이 위치해 노년층과의 접촉 기회가 특히 높다. 따라서 노년층의 어려움을 일상적으로 목격할 기회가 많았다.
•
노년층이 느끼는 디지털 정보 격차는 궁동의 일뿐만 아니라, 한국 전반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2022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노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
또한 궁동 내 프랜차이즈 카페와 사회복지관에서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여러 키오스크 사용 매장에서 디지터 격차를 느끼는 고객에 대한 매뉴얼이 부재하며, 복지관에서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나 노년층은 일상적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모습을 보였다.
정책 내용
정책 추진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방안
1) 접근성의 문제
•
복지관과 문화센터에서 단체 버스 대여 및 운영
•
박람회 어플을 통해 온라인 참여 가능
2) 인식 개선의 필요성
•
진행 과정에서 ‘노년층’ 혹은 ‘어르신’ 강조 지양
3) 청년의 참여 이유 부재
•
노년층 뿐 아니라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여 청년 또한 참여 가능하도록 운영
•
부스 봉사자로 참여 독려
•
식음료/키오스크존 청년 창업 매장 지원
4) 일회성 체험으로 그칠 우려
•
박람회 어플을 통해 온라인 강의 수강 가능
•
박람회 어플을 통해 디지털 기기 대여 또는 구매 가능
기대 효과
•
노년층과 청년층의 세대 융합
•
노년층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강화
•
기존 프로그램 홍보 효과
→ 스마트 구로 실현
활동 사진 첨부 필수!
10월 14일 - 활동 주제 구체화 및 일정 계획
10월 24일 - 궁동종합사회복지관 인터뷰
10월 24일 - 궁동종합사회복지관 내 스마트체험존 라운딩 (효돌이)
10월 24일 - 궁동종합사회복지관 내 스마트체험존 라운딩 (해피테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