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파티, 길드원 모집”
시간 | 내용 | 비고 |
14:00~15:00 | 코디네이터 협의회 및 활동 준비
실별 세팅&실별 이동
<협의회_프로젝트 안내, 팀장 역할 안내, 단톡방 개설>
<2차전직 작성 문서, 팀별 참여자 명부> | |
14:45~15:00 | 청소년 입장 *입장시 부착된 프로젝트 명렬표 확인, 자기 ID 카드 가져가기(신규 참여자는 만들기) | |
15:00~15:20 | 1) 다가치월드 세계관 소개, 지난 활동 안내, 프로젝트 목록 안내
2) 활동 규칙 안내
→ 말하기 토큰을 가진 사람만 이야기하고 다른 팀원들은 발화자의 말을 잘 들어주기!!
3) 간단한 우르르 놀이 | |
15:20~15:30 | 길드 구성하기_프로젝트 주제 3개 설명, 신규 참여자 선택 후 공간 이동
_ (Like 코디) 미니 깃발 만들기 _ 별명 & 선택한 프로젝트 키워드
_ 같은 프로젝트 키워드 깃발을 든 코디를 찾아랏! → 공간 이동 | |
15:30~15:50 | 팀별 아이스워밍(선택), 딴짓딴짓 열매 퀘스트 내용 공유(경험지도, MATRIX WHAT, HOW) + 신규 참여자 참여 안내
MATRIX(WHY) : 나의 이유, 우리(다가치)의 이유, 세상의 이유 | |
15:50~16:45 | 프로젝트 파티, 길드원 모집 _ 프로젝트 항해 계획 (전지 순항계획서 그림, 해설서, 세부내용 카드)
1. 원피스(목적지) : 공동의 활동 목표
2. 항로(진행) : 활동 아이디어
3. 선원 : 팀원들의 공통점(참여동기)
4. 루피(선장) : 프로젝트 팀장 선정, 리더의 역할과 책임
5. 북서풍(바람) : 코디네이터의 역할
6. 고잉메리호(선박) : 안전하고 즐겁게 활동하기 위한 프로젝트 운영 규칙
7. 연료통(예산) : 50만원 사용 계획
8. 깃발(팀의 고유성) : 프로젝트명, 활동 시간과 장소
*실물 팀별 깃발 만들기 → 다락방 앞 공터에서 물감 이용하여 팀별로 꾸미기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 시 유의사항
-팀장 선정(발표)
→ 팀장 역할 : 매주 활동일지 작성, 계획서 발표
코디네이터
→ 팀별 1차 단톡방 개설(참여자 추가모집 하게 될 경우 팀원 변동 가능)
→ 프로젝트 팀 최종 선택 구글폼 작성 | |
16:45~17:10 | 도서관 집결, 전체 팀 발표 | |
17:10~17:45 | 팀별 식사
*기획워크숍 공간으로 이동 후 식사, 팀별 해산 | |
17:45~18:30 | 팀별 계획 공유 | |
준비물 : 위촉장, 작업한 경험지도, MATRIX(WHAT&HOW), 명부(전체 참가자, 팀별 참가자), 활동지(MATRIX WHY&항해계획서&,프로젝트 목록표(팀별, 입구), 미션지, 공간 표시판, 실별(전지, 매직, 포스트잇), 소강당 샌드위치, 과채주스, 팀원깃발(현수막), 개별 깃발, 벽 ID 카드 |
담당 프로젝트 확인
•
각 팀별로 정해진 공간에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
1명이라도 있다면 기획워크숍을 진행해주시고, 만약 참여자가 없는 팀의 경우
다른 키워드에 들어가 기획워크숍을 함께 운영해주시면 됩니다.
•
계획이 다 나오고 나서 프로젝트를 바꾸길 희망하시거나 어려움이 있는 부분은 협의회에서 이야기해주세요.
프로젝트 키워드 | 담당 코디네이터 | 프로젝트 내용 | 장소 |
환경/동물+공연 | 넘쳐나는 쓰레기, 환경 변화, 멸종위기 동물 문제를 알리기 위한 멋진 퍼포먼스를 보여주자!
* 공연_동물 역할극(무대 기획+제작), 유튜브, 멸종위기 동물 사진전, 인식 변화 캠페인 | ||
몸놀이+게임 | 우리 주변의 지형지물을 활용해 누구나 마음껏 참여할 수 있는 현실판 로블록스맵을 만들어보자!
* 운동기구만들기, 파쿠르, 실사판 게임맵 출시, 토크콘서트, 특허, 시연, 게임방송(라이브) | ||
요리+기록 | 미디어, 만화에 나오는 요리를 직접 만들어보고 다슐랭 칼럼북을 만들어보자!
* 레시피북 제작, 칼럼 출판 |
팀별 진행 방법
1) 팀별 참여명부 작성, 간단한 자기 소개와 아이스워밍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지난 페이지 방법 참고)
2) 지난주 토요일 ‘2차 전직 퀘스트’에서 진행한 내용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3) 새로운 멤버가 있다면 지난 활동지에 내용들을 점검하고 의견을 추가합니다.
4) 분야별 경험의 폭을 넓히고 공통의 이유를 찾을 수 있도록 WHY MATRIX를 작성합니다. 서로의 공통 경험과 관심사를 기반으로 활동의 의미를 넓혀가는 기조로 진행해주세요.
5) 4개월, 8개월 간 우리 활동의 지표가 될 항해 계획 세우기가 오늘의 최종 목표입니다. 앞으로 쭉 변경해나갈 계획이기는 하지만, 구체적일수록 재미가 배가 될 거예요.
6) 어떻게 계획을 세우면 좋을지 설명서가 있으니 하나씩 살펴보며 내용을 채워나가면 됩니다.
7) 전지에 각 팀의 고유성이 잘 담길 수 있도록 꾸며도 좋습니다. 마지막엔 팀의 간판이 될 현수막 깃발을 멋지게 꾸며주세요.
8) 팀장의 역할을 충분히 설명해주세요. 팀을 함께 이끌 꾸리이자 매주 활동일지를 기록하여 다가치학교의 모든 이들과 공유하는 역할을 합니다.
9) 모든 활동이 끝나고 전지를 소강당에 가지고 와 갤러리워크를 통해 내용을 공유합니다.
10) 당일 참여한 팀원들과 단톡방을 개설하고 첫 모임 일시를 협의회에서 전달해 주세요. 6월 한 달 간 최종 모집된 꾸리들의 번호를 매주 전달해드릴 예정입니다. (구글 시트 활용)
*프로젝트의 특징은 정해진 목표와 목적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목표를 수정하거나 때로는 우연하고 돌발적인 사건들로 새로운 방향성을 갖게 되는 것이지요. 새롭게 들어올 꾸리들과 또 우연히 재밌게 만들어갈 프로젝트의 가능성을 많이 알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