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치학교
home
소개
home
🎊

[22.10.07]구로 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네트워크 파티

파일
다가치학교X구로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네트워킹 파티 큐시트.pdf
구분
주요 행사

결과물 공유!

기업 소개 _ 이어질 결심.pdf
468.4KB
프로젝트 소개 _ 이어질결심.pdf
453.9KB
협의 보드.pdf
1116.6KB
프로젝트명
사회적경제기업
key워드 / 기업의 자원(전문가, 경험, 컨텐츠 등)
새로운 도전, 콜라보!
네트워크 후기!(감상, 결심(?) 무엇이든!)
매뉴개발팀
두리하나다울
협업, 사회적 가치// 청소년들에게 만드는 과정만 재미있을 수 있지만, 준비하는과정부터 뒷정리까지 모두 하는 책임감을 심어주는 것도 중요하다. 두리하나다울은 발달장애인들의 생활 터전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스스로 자립할 수 있게 지원하는 곳. ‘더불어 살아가기’
청소년에게 다양한 디저트류를 접해볼 수 있게 개인카페 방문-두리하나다울 카페 방문 및 제과제빵실 견학 청소년들이 만든 음료 및 디저트를 행사 외에도 사회적 기업들 찾아가서 기부 해보기
지금까지는 청소년들이 원하는 것에만 맞추어 활동을 진행하려고만 했다면, 앞으로는 경험해보고 싶은 것들을 함께 찾아가며 청소년들의 호기심과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활동을 하고 싶다. 많은 것들을 얻어갈 수 있는 너무 가치있고 좋은 자리였습니다!
카페창업팀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
사회적가치/방과후 원데이 클래스 지역공방등 연 사회적 가치 분배&기부-경험이 중요 기부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보람을 느끼고 카페활동은 부수적인 것 이공간은 이용하는 청소년을 위한 시설 공간: 체험활동-공간에서 놀수 있는 꺼리 레고벽 플리마켓 창작활동 즐길것이 없을까? 아이디어 공모전 아이디어 -사회적가치를 설명할 때 필요에 대한 고민-사회적가치를 필요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으로 연계
하지: 카페를 단지 음료만 판매하는 곳이 아닌,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장으로 만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좋은 자리였습니다! 카페 음료를 만드는 방법 뿐만 아니라 사회 공헌, 사회문제 등 함께 더 알아가야겠다고 다짐할 수 있었습니다! 푸우: 카페라는 공간을 단순히 음료를 판매를 공간이 아니라 청소년들이 찾아올수 있는 공간 으로 만들수 있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목표를 삼는 것이 카페창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방향성을 정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FOP 리폼 프로젝트팀
구로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1. 협업 / 협업은 “주고 받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서로 잘 알아야하며 많이 소통하며 신뢰를 쌓아야한다. 또한 의사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중요한 문제를 빠르게 해결 가능하다. 2. 공동체 / 공동체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꼭 발표가 아니여도 포스트잇으로 생각 공유하는 시간을 보내려고 시도하기! 3. 도전 정신 / 일단 해보기,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함. 생각만하다가는 시기를 놓칠수도..!
<기업 연계 해결 방안> - 애견옷 제작 기업 - 마스크 제작 기업→ 패션의류 경험 및 천 활용하는 방법 - 폐현수막 가방 제작 기업 → 리폼에 필요한 경험들과 바느질 배울 수 있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리폼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에 있어서 한계를 느꼈었는데, 리폼 관련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FOP 프로젝트가 배워갈 수 있는 것들을 새롭게 알아갈 수 있었던 시간이였던 것 같습니다. 또한 리폼 과정에 있어 실패에 연연하지 않는 도전이 가장 중요함을 다시금 깨달은 시간이였습니다!
웹드라마 프로젝트
아라청년문화예술협동조합
1. 공간 이번 파티에선 공간에 대한 상상을 더 넓힐 수 있었습니다. 웹드라마라는 영상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만큼 장면에 맞는 다양한 공간들이 필요한데, 물론 다가치학교 내에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공간들이 많지만 그 밖에 필요한 공간이 생길 경우 지역에서 오래 활동해 온 아라의 노하우를 통해 필요한 자원이나 방법들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필요한 경우 대관 절차, 공문처리, 담당과 등에 대해서 알려주시고 도움을 주시겠다고 했습니다! 2. 홍보 아무래도 웹드라마와 유튜브 컨텐츠 모두 영상 미디어라는 특성상 출연진을 구한다거나 상영회가 있을 때 알린다거나 하는 식의 모집, 홍보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그 부분을 다수의 구독자를 가진 페이스북과 인스타 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아라로부터 도움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홍보 요청 시 '구로/금천 대신 전해드립니다' 페이스북 페이지에 홍보물 게시 등이 가능하다고 하셨습니다. 3. 지속 이 부분은 저희 영상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모든 프로젝트의 코디 분들과도 관련된 아주 중요하고도 필요한 이야기였습니다. 코디들의 심리상담및 역량강화를 위한 슈퍼비전을 아라에서 제공해주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씀하셨어요. 아무래도 청소년, 청년 활동에 오래 몸담아 온 만큼 코디들의 힘든 부분이나 필요한 부분에 적절한 조언을 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분야의 전문 강사를 연결시켜주고, 레크레이션이나 청소년을 대하는 태도, 자세에 대해 알려주는 워크숍을 진행 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이야기도 나왔습니다.
1. 기업 공간 소개 영상 혹은 기업 홍보 영상 연계 제작기회 아라 역시 영상 제작을 해온 곳이기에 기업 등에서 들어오는 영상 의뢰가 많다고 합니다. 그런 의뢰들을 영상 프로젝트 팀들과 콜라보하여서 직접 제작해 볼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는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아무래도 실전 경험을 쌓아보는게 성취감이나 앞으로의 진로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코디 성장기록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 뿐만 아니라 코디들도 함께 성장해 나갑니다. 그런 점에서 그러한 코디들의 성장.변화 기록들을 영상으로 남겨놓으면 어떨가라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현재의 모습을 담은 기록들을 미래시점에 보면서 그때 기분이나 기억을 되새기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겠다 등의 새로운 자극도 얻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소중한 추억도 될 수 있을 것 같구요~ 3. 인턴과정 고3이나 고등학생 등 성인을 곧 앞두고 있는 친구들의 경우에는 아라에서 인턴으로 실무를 경험해는 기회를 가지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영상 프로젝트 특성상 앞으로의 진로를 영상 쪽으로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아라에서 진행하는 영상 실무들을 경험하거나 혹은 가능한 다른 단체와 연결하여 경험해보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이러한 콜라보를 통해 학생들의 장래가 조금 더 구체화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솔직히 시작하기 전에는 어떤 이야기를 나눌지 그다지 준비를 하지 않았던터라 무슨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지 좀 걱정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야기를 시작하자 그동안 가지고 있었던 고민들이 자연스럽게 술술나왔고, 거기에 딱 필요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본격적인 영상 관련 고민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제게는 청소년들과의 관계형성이나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항상 가장 크게 있었습니다. 그게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이라 스스로 느끼고 있었지만, 어떻게 해나가야할지는 솔직히 좀 막막했습니다. 이번 네트워크 파티 시간에는 그런 부분에 있어서 현재의 제게 꼭 필요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청소년들과의 관계맺음에 있어서 조금 더 자신감을 가지고 대하고, 기술적으로도 알려주신 내용들을 적용해보며 좀 더 적극적으로 임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음악프로젝트
마노스
1.협업: 밴드음악, 혹은 연주를 활동 뿐만아니라 더 다양하게음악적 경험을 더욱 다양하게 했으면 하는 고민들을 같이 나누었습니다. 다만 무언가 배우는 과정에서 음악프로젝트의 핵심 목표인 재밌게 놀자라는 중심점에서는 멀어질 수 있다는 조언해주셨고 상당히 인상깊었습니다.
새로운 공간에서 음악연주를 위한 스튜디오 체험과 마로니에 공원에서의 공연, 그리고 다양한 레슨까지 제안해주셨습니다!
학습적 성취 욕구와 흥미와 재미 어느 한쪽도 균형을 잃지 않도록 더욱 고민해보고 이 고민들을 학생들과 함께 나눠보고 싶습니다.
모두의 공간, 모두의 인테리어 프로젝트
두리하나다울
1. 협업 / 2. 공간 두리하나다울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경제적 자립, 기술을 조력하는 단체로 발달장애인에 대한 조력을 하고 있는 작업, 기술 공간으로, 모두라는 감각은 낯섦에서 일상으로 익숙함으로 넘어갈 때 좀 더 확장될 수 있는 감각이라는 것에 상호 동의하며 익숙함. 일상적인 관계망, 장면 속에서 낮설지 않게 경험할 수 있도록 카페를 견학을 지원하고 설명해주시기로 함
카페 견학 및 라운딩을 통해 발달 장애인의 익숙함. 장애의 일상성을 확인하기로~
모두라는 감각은 사실 인권 강의, 그 테마의 무엇이 아니라 일상적인 곳 / 사회적 기업 / 공익 활동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큐레이션하고 반복적으로 설명하고 이야기하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 코디 어렵다. 할게 많다. 그런데 또 함께 가는 것은 더 어렵다.
다가치사진관프로젝트
마노스사회적협동조합